일반공통과목
-
- Data Science와 AI 개념 (Data Science &AI) GRA506
- Data Science의 개념을 데이터 과학의 체계 및 절차, 그리고 방법론 등에 대한 개관을 통하여 습득하고, AI의 개념을 역사, 기초 지식, 활용 방법, 활용 사례 등을 통하여 이해한다.
-
- 인공지능 개론 (Introduction to A.I) GRA507
-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(머신러닝 및 딥러닝)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개념 및 최근 연구동향을 알고, 기초적인 프로그래밍을 통해 인공지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보도록 한다.
-
- 데이터사이언스를 위한 통계분석 (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Science) STE501
- 체계적 문헌고찰(Systematic Review)과 메타분석(Meta-analysis)을 통한 연구방법론 탐구 및 분석법 탐구 데이터사이언스의 최신동향 및 다양한 통계 분석 TOOL 고찰 R 프로그램 활용한 메타분석 실습 및 보고서(논문) 활용 탐구 그룹별 및 모듈형 수업 과정 도입에 따른 학습탐구의 자율성 확대
-
- 데이터기반 연구조사방법론 (Research Methodology with Data Analysis) GLB501
- 디지털 관리, 특히 e-비즈니스에서 연구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을 소개한다. 이 과정에서 통계적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를 제공하고 연구 방법론의 보다 정교한 통계적 추론을 다룬다.
-
- 데이터베이스 연구조사방법론 (Data-based Research) PUP501
- 양적 사회연구에는 확립된 사회 이론에 따라 경험적 데이터를 수집, 분석 및 해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포함된다.
-
- 데이터기반 논문작성 (Date-based Thesis Writing) CUS501
- 학문 영역별 데이터분석을 이용한 논문 작성에 필요한 이론 및 방법론을 다룬다. 즉 양적연구의 실제적 방법론을 근거로하여 연구주제선정에서부터 연구방법, 측정도구 그리고 통계 분석 및 결론도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그 주요 내용을 학습한다.
-
- 4차 산업시대의 인문학 (Humanities in the 4th Industrial Era) CUS502
- 4차 산업시대가 만들어내는 미래사회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존재적 가치인 실존 또는 생존문제로 연결된다. 따라서 새로운 변화의 환경에서 인문학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인문학 지식의 습득과 인문학적 사고를 구축한다.
기초공통과목
-
- 문화재학연구(CULTURAL RESOURCE STUDIES) MHJ501
- 문화재의 개념분석, 학문으로서의 문화재, 그것의 사회적 효용, 각국의 연구 현황 등의 문제를 검토 한다.
-
- 고고학연구방법론(ARCHAEOLOGICAL METHODOLOGY) MHJ502
- 기본적인 고고학의 연구 방법에 대한 지금까지의 제 이론을 살피고 이를 한국고고학의 연구에 어떻게 적용시켜 왔는지 그 구체적인 사례를 검토한다. 그리고 앞으로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외국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 및 정립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인지에 대해 연구한다.
-
- 미술사학원론연구(INTRODUCTION TO HISTORY OF ART) MHJ503
- 미술사학의 학문적 성격과 사회적 효용을 다룬다. 문헌사학과의 관계, 사회문화와의 관계를 심층적 으로 분석한다.
-
- 박물관학연구(MUSEUM STUDIES) MHJ504
- 세계 박물관의 역사, 기능, 고고학?미술사학?민속학과의 관계, 특히 한국 박물관의 문제 등을 검 토한다.
-
- 문화재세미나1(CULTURAL RESOURCE SEMINER1) MHJ505
- 미술사연구의 기본이 되는 일차사료인 문화재의 가치와 보존 · 철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.
-
- 문화재세미나2(CULTURAL RESOURCE SEMINAR2) MHJ506
- 미술사연구의 기본이 되는 일차사료인 문화재의 가치와 보존 · 철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.
-
- 문화유산콜로키움1(CULTURALL HERITAGE COLLOQIUM1) MHJ507
- 문화유산 전공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 초청강연을 통해 최신연구동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, 참여자간 토의를 진행한다.
-
- 문화유산콜로키움2(CULTURALL HERITAGE COLLOQIUM2) MHJ508
- 문화유산 전공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 초청강연을 통해 최신연구동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, 참여자간 토의를 진행한다.
-
- 문화유산과빅데이터(CULTURAL HERITAGE AND BIG DATA) MHJ521
- 문화유산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정도와 범위를 학습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서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문화유산 연구방법 학습
-
- 문화유산디지털애플리케이션(DIGITAL APPLICATIONS OF CULTURAL HERITAGE) MHJ522
- 3D, GIS 기술 등을 이용하여 문화유산의 측량 데이터, 입면 모델, 3D 모델 활용방법 학습
-
- 스마트기술융합문화유산학1(SMART TECHNOLOGY AND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1) MHJ523
- 문화유산에 접목되는 다양한 스마트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융합 과정과 배경 학습
-
- 스마트기술융합문화유산학2(SMART TECHNOLOGY AND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2) MHJ524
- 고고학이나 미술사학 등 관련 분야에서 3D, Geo-ICT, 5G, AI, AR, VR 등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 및 학습
-
- 문화유산정책과지역사회(CULTURAL HERITAGE POLICY AND REGIONAL SOCIETY) MHJ525
- 문화유산의 보존, 관리, 활용 등 다양한 정책 현안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학습하여 적절한 대안 모색
-
- 디지털문화유산콘텐츠(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) MHJ526
- 훼손되거나 사라진 문화유산을 복원하거나 문화재 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 이용되는 디지털문화유산에 대한 관련 사례와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는 디지털문화유산의 다양한 콘텐츠 학습
-
- 고고학의이론과방법1(THEORY AND METHODS IN ARCHAEOLOGY 1) MHJ551
- 서양에서 연구된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방법을 검토한다.
-
- 고고학의이론과방법2(THEORY AND METHODS IN ARCHAEOLOGY 2) MHJ552
- 동양에서 연구된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방법을 검토한다.
전공과목 (전공선택)
-
- 야외고고학1(INTRODUCTION TO FIELD ARCHAEOLOGY) MHJ553
- 실제 발굴 현장에서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조사·연구한다.
-
- 야외고고학2(INTRODUCTION TO FIEID ARCTAEOLOGY2) MHJ554
- 실제 발굴 현장에서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조사·연구한다.
-
- 구석기고고학연구(THE PALAEOLITHIC ARCHAEOLOGY OF KOREA) MHJ555
- 한국 구석기문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에서 한국 구석기 고고학이 차지하는 위치를 검토한다.
-
- 신석기고고학연구(THE NEOLITHIC ARCHAEOLOGY OF KOREA) MHJ556
- 한국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이 시대의 전반적인 사회상을 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대 문화의 특질을 구명한다.
-
- 청동기고고학연구(THE BRONZE AGE OF KOREA) MHJ557
- 청동기시대의 주거지, 무덤, 유물 등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청동기시대의 사회적인 성격 및 제지역 의 관계를 살피고 나아가 문화적인 특질을 비교 검토한다.
-
- 철기고고학연구(THE IRON AGE OF KOREA) MHJ558
- 철기시대의 복잡한 사회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고대 국가에로 발전되었는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철기 유물 혹은 관련 유적을 검토하여 그 특질을 살핀다.
-
- 고구려고고학연구(THE ARCHAEOLOGY OF KOGUYRO) MHJ559
- 고구려의 적석총, 고분 벽화, 도성, 주거 양식, 문헌 등을 통하여 이 시대의 문화상을 밝힌다.
-
- 백제고고학연구(THE ARCHAEOLORY OF PACKJAE) MHJ560
- 백제의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백제 사회의 변동과 그 원인 및 결과를 해석한다.
-
- 신라고고학연구(THE ARCHAEOLOGY OF SHILLA) MHJ561
- 신라의 제문화적인 성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고고학의 특성을 검토한다.
-
- 가야고고학연구(THE ARCHAEOLOGY OF KAYA) MHJ562
- 가야의 특수한 역사적 환경에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고고학적인 유적· 유물을 통하여 가야고고학 의 실체에 접근한다.
-
- 고고학연습1(ARCHAEOLOGY : SEMINAR 1) MHJ568
-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고고학연습2(ARCHAEOLOGY : SEMINAR 2) MHJ569
-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취락고고학(SETTLEMENT ARCHAEOLOGY) MHJ570
-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은 군집생활이다. 그리고 이러한 군집생활은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도 하고 주변 지역과 교류하기도 하면서 발전 및 변화하기 때문에 취락에 대한 연구는 그 시대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. 이에 취락에 대한 여러 학설과 그에 대한 연구
-
- 토기문화론(THE POTTERY ANALYSIS) MHJ571
- 인간이 남긴 유물 중 가장 많은 것은 일상생활 용기인 토기이다. 이러한 토기에 대한 연구는 당시 사회의 기본적인 정신세계와 그들의 공유된 의식을 엿볼 수 있는 것이므로 토기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 를 통하여 그 시대의 문화상을 연구한다.
-
- 석기문화론(THE LITHIC ANALYSIS) MHJ572
- 토기와 더불어 석기는 이기로서 혹은 기본적인 생산 도구로서 철이 발견되기 전까지 인간의 주요 도구였다.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당시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으므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지역상 및 문화상을 살핀다.
-
- 제4기고고층서학(QUATERNARY ARCHAEOLOGICAL STRATIGRAPHY) MHJ573
- 유적 발굴은 층위가 기본이 된다. 본 과목은 제4기 층서학의 최신 이론인 순차 층서학적 방법을 이용, 이들을 어떻게 정밀 기재하는가에 대하여 배우고 이들이 어떤 고환경 하에서 퇴적되었는가 하는 성인 적 기원을 밝히는 여러 문제에 대하여 검토한다.
-
- 한국미술사특강(TOPICS IN KOREAN ART HISTORY) MHJ601
- 한국 미술사의 전체적인 흐름 및 미술사 연구의 기초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.
-
- 한국조각사연구(HISTORY OF KOREAN SCULPTURE) MHJ603
- 한국 조각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시대적 변천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며, 나아가 조각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통시대적으로 탐구한다.
-
- 한국공예사연구(HISTORY OF KOREAN HANDCRAFTS) MHJ604
- 도자, 금속, 유리, 목칠, 섬유 등 공예 분야에서 탁월한 예술적 경지를 펼쳐낸 한국인의 공예 세계를 연구한다.
-
- 한국건축사연구(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) MHJ605
- 한국 건축사의 시대적 특성을 탐구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속에서 건축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살펴 본다.
-
- 미술사연습1(HISTORY OF ART : SEMINAR 1) MHJ627
-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미술사연습2(HISTORY OF ART : SEMINAR 2) MHJ628
-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한국회화사연구1(HISTORY OF KOREAN PAINTING 1) MHJ629
- 한국 회화에 나타난 시대별 양식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. 아울러 회화의 각 시대 정신과 가치 그리고 한국적 특성을 탐구한다.
-
- 한국근현대미술사연구(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) MHJ636
- 근 현대미술의 개념과 변천 내용 등을 탐구한다. 나아가 근·현대 미술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고 한국미술사에 정당한 자리매김을 도모한다.
-
- 한국회화사연구2(HISTORY OF KOREAN PAINTING 2) MHJ640
- 한국 회화에 나타난 시대별 양식과 그 의미를 깊이 있게 고찰한다. 아울러 회화의 각 시대 정신과 가치 그리고 한국적 특성을 탐구한다.
-
- 한국도자사연구1(HISTORY OF KOREAN CERAMICS 1) MHJ641
- 한국 도자의 재료와 제작기법을 고찰하고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도자 양식 변천과 대외 교류를 살펴본다.
-
- 한국도자사연구2(HISTORY OF KOREAN CERAMICS2) MHJ642
- 조선시대 도자의 시대별 양식 특징과 대외 교류 관계를 파악하고 사상과 수요 계층과의 연관성을 고 찰한다.
-
- 도자사특수연구(STUDY ON THE SPECIFIC TOPIC OF CERAMIC) MHJ646
- 최근 도자사 연구 경향과 주된 논제를 파악하고, 그 문제점과 주제의 방향성을 고찰하여,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 역량 함양을 그 목표로 한다.
-
- 고고학세미나1(ARCHAEOLOG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1) MHJ801
-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세미나2(ARCHAEOLOG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2) MHJ802
-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세미나3(ARCHAEOLOG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3) MHJ803
-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세미나4(ARCHAEOLOG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4) MHJ804
-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의쟁점1(ISSUES IN ARCHAEOLOGY 1) MHJ805
-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의쟁점2(ISSUES IN ARCHAEOLOGY 2) MHJ806
-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의쟁점3(ISSUES IN ARCHAEOLOGY 3) MHJ807
-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의쟁점4(ISSUES IN ARCHAEOLOGY 4) MHJ808
-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고고학특수연구1(ARCHAEOLOGY : ADVANCED SEMINAR 1) MHJ809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고고학특수연구2(ARCHAEOLOGY : ADVANCED SEMINAR 2) MHJ810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고고학특수연구3(ARCHAEOLOGY : ADVANCED SEMINAR 3) MHJ811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고고학특수연구4ARCHAEOLOGY : ADVANCED SEMINAR 4) MHJ812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한국서화론연구(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D CALLIGRAPHY : CRITICAL ISSUES AND METHODOLOGIES) MHJ851
- 회화가 미술사의 대종으로서 예술정신의 정수를 담아낸 만큼 각 시대별 회화창작, 감상, 비평의 가치 와 기준을 파악해 보며 동시에 회화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서화론도 포함하여 고찰한다. 아울러 중국 서화론과의 비교와 화론의 한국적 특성을 살펴본다.
-
- 한국불교미술사연구(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) MHJ852
- 삼국시대 이래 꽃피운 불교미술 가운데 불교조각과 불교회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며 중앙아시 아, 중국, 일본 등 외국과의 관계는 어떠하였는지 살펴본다.
-
- 미술사학사연구(HISTORY OF ART HISTORY) MHJ855
- 미술사학의 연구방법론에 치중하여 동서양의 논저를 역사적으로 고찰한다. 특히 19세기 이래의 양식 이론에 중점을 둔다.
-
- 미술사세미나1(ART HISTOR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1) MHJ858
- 미술사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미술사세미나2(ART HISTORY : DIRECTION OF DISSERTATIONS 2) MHJ859
- 미술사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미술사쟁점연구1(ISSUES IN ART HISTORY 1) MHJ860
- 미술사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미술사쟁점연구2(ISSUES IN ART HISTORY 2) MHJ861
- 미술사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.
-
- 미술사특강1(ART HISTORY:ADVANCED LECTURE 1) MHJ862
- 미술사의 연구방법론 및 주요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미술사특강2(ART HISTORY:ADVANCED LECTURE 2) MHJ863
- 미술사의 연구방법론 및 주요논점에 대해 검토한다.
-
- 미술사특수연구1(ART HISTORY : ADVANCED SEMINAR 1) MHJ864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 관련 특정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한다.
-
- 미술사특수연구2(ART HISTORY : ADVANCED SEMINAR 2) MHJ865
-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 관련 특정주제를 정해 집중 연구한다.
-
- 서예사연구(HISTORY OF CALIGRAHY) MHJ866
- 중국과 한국의 서예사를 고대부터 19세기까지 현존 자료와 인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시대 별 양식 변천과 특성을 파악한다.
-
- 미술과문화연구1(THE STUDY OF ART AND CULTURE1) MHJ869
- 미술과 문화에 대한 특정 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 토론한다.
-
- 미술과문화연구2(THE STUDY OF ART AND CULTURE2) MHJ870
- 미술과 문화에 대한 특정 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 토론한다.
전공과목 (국제화공통)
-
- 중국고고학연습(CHINESE ARCHAEOLOGY : SEMINAR) MHJ563
-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고고학의 성과를 검토한다.
-
- 일본고고학연습(JAPANESE ARCHAEOLOGY : SEMINAR) MHJ564
- 선사시대 이래 연구된 일본고고학의 주요 성과를 검토한다.
-
- 동북아시아고고학연습(NORTH-EASTERN ASIAN ARCHAEOLOGY : SEMINAR) MHJ565
- 신석기청동기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동북아시아만의 특수한 고고학적 연관성을 살피기 위해 연구된 업적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시도한다.
-
- 한중관계고고학(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ARCHAEOLOGY) MHJ566
- 선사-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관계가 있는 한국과 중국이 고고학적으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그간의 연구성과를 검토한다.
-
- 한일관계고고학(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JAPANESE ARCHAEOLOGY) MHJ567
- 한국과 일본은 신석기시대 이래 많은 문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. 그런데 이러한 관계가 문헌적으로는 매우 미흡하기 때문에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. 따라서 선사-역사시대에 이르는 양국의 고고학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상호 관련성에 대해 연구한다.
-
- 서양근현대미술사연구(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EUROPE AND AMERICA) MHJ626
- 새로운 조류의 탄생의 사회적 배경, 작가의 ‘예술선언’ 등의 요소를 작품과 비교, 검증한다.
-
- 일본미술사연구(HISTORY OF JAPANESE ART) MHJ631
- 회화, 조각, 공예, 건축 등의 부문을 다루되 일본인의 미의식 탐구에 초점을 둔다.
-
- 인도미술사연구(HISTORY OF LNDIAN ART) MHJ632
- 회화, 조각, 건축 등 불교미술의 원류로서의 인도미술이 주변지역에 끼친 영향을 고찰한다.
-
- 동양미술사특강(TOPICS IN FAR EASTERN ART) MHJ637
- 한국 중국 일본 미술을 대상으로 최근의 저작, 전시, 연구동향을 분석하면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.
-
- 중국회화사연구(HISTORY OF CHINESE PAINTING) MHJ638
- 고대부터근 현대까지나타난중국회화사의주요쟁점을다루며, 특히주변지역에끼친영향에치중한다.
-
- 중국근현대미술사연구(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CHINA) MHJ639
- 전통미술이 급변하는 시대조류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고찰한다. 외래미술과의 관계도 아우른다.
-
- 중국공예사연구(HISTORY OF CHINESE HANDCRAFTS) MHJ643
- 한대부터 청대까지 중국 공예의 시대별 특성과 양식 변천을 파악하고 우리 공예와의 연관성을 살펴본다.
-
- 중국불교미술사연구(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) MHJ644
- 중국의 불교 조각과 불교 회화의 각 시대 별 특성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인도와 우리와의 교류 관계 를 고찰한다.
-
- 동양도자사연구(STUDY ON THE EASTEN ASIA CERAMIC HISTORY) MHJ645
- 중국, 일본, 한국 및 동남아시아 각국 도자사의 기원과 발전을, 상호교류와 무역을 통해 살펴봄으로 써, 그 양식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-
- 동양화론연구(THE STUDY OF ORIENTAL ART THEORY) MHJ853
- 주요 텍스트를 선정, 집중적으로 분석한다. 특히 화론과 당대회화의 관계를 고찰한다.
-
- 중국도자사연구(HISTORY OF CHINESE CERAMICS) MHJ868
- 한대부터 청대까지 중국 도자의 각 시대별 특성과 변천 과정, 대외 교류 상황을 파악하고 중국 미술사 에서 도자사의 위치와 그 의의를 고찰한다.